사이트맵이란 인터넷 사용자나 검색엔진 크롤러 등이 웹사이트의 구조를 확인할 때 이용하는 페이지 목록을 의미합니다. 쉽게 말해 웹사이트를 구성하는 페이지 목록이죠. 인터넷 사용자 측면이든 검색엔진의 크롤러 측면이든 특정 웹사이트의 전체 계층구조를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사이트맵을 만들 수 있도록 기능을 제공해주는 일반적인 사이트에서는 트래픽 문제로 인해 한정된 용량의 사이트맵 작성만 가능하도록 만들어 졌거나, 전체 사이트맵을 만들 수는 있지만 1회성에 그치는 등 사용에 한계가 있는 것이 보통입니다. 또한 해외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통해 수 백개의 블로그 포스트 사이트맵을 만드는 데 반나절이 넘는 시간이 걸리기도 합니다.
랭크로가든 블로그의 포스트 수가 100개가 넘어가다보니 새롭게 사이트맵을 만들어야겠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그런데 해외 사이트를 통한 사이트맵 생성은 시간이 많이 걸리는 단점이 있어 따로 검색을 해보다가 한 티스토리 블로거께서 티스토리 전용 고속 사이트맵 생성기를 올려주신 것을 확인하게 되었습니다. 실제로 실행도 해보았구요. 그럼 티스토리 전체 사이트맵 고속 생성기를 통해 사이트맵을 만드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바로 출발!
티스토리 전체 사이트맵 고속 생성기의 특징
1. 티스토리 블로그에서 재공해주는 서비스이다. ☞ 해외 사이트나 특정 프로그램이 아닌 티스토리 블로그에 접속하여 사용이 가능한 프로그램입니다.
2. 티스토리 블로그에만 적용이 된다. ☞ 사이트맵 제작자께서 해당 프로그램은 티스토리 블로그에만 적용된다고 하네요.
3. 정말 고속이다. ☞ 사이트맵 제작이 눈감짝할 사이에 완료됩니다. 제 블로그 포스트가 100가 좀 넘는데 5초도 안걸리더군요.
4. 적용되는 URL 수가 적다. ☞ 사실 이 부분이 장점이 될 지는 모르겠습니다. 해외사이트를 이용한 사이트맵 생성시 URL이 5,000개가 넘었었는데, 해당 블로그에서 제공하는 사이트맵 생성기를 사용해서 적용을 해보니 URL이 147개에 불과했습니다. 147개 안에는 100 여 개의 블로그 포스트 주소와 카테고리 주소 등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반드시 필요한 부분은 들어있더군요. 구글과 네이버, Bing 등의 사이트에 적용을 해두었으니 이렇게만 사이트맵을 유지해도 좋은지는 추후 다시 포스팅해보겠습니다.
▼ 네이버 웹마스터도구에서 사이트맵을 새로 등록을 했습니다. 네이버 웹마스터도구에서는 사이트당 하나의 사이트맵만 제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전 사이트맵을 먼저 삭제해줘야합니다.
▼ 구글 서치콘솔에서도 등록해줬구요. (구글 웹마스터도구가 구글 서치콘솔로 명칭이 변경되었습니다.) RSS는 그대로 두고 사이트맵만 변경적용하면 됩니다.
▼ Bing 사이트에도 마찬가지로 사이트맵을 등록했습니다.
마치며...
티스토리 사이트맵을 만들기 위해 접속하던 해외 사이트를 다시 접속하게 될지는 모르겠습니다. 이번에 새롭게 적용된 전체 사이트맵만 가지고도 검색 기능에 큰 문제점이 발견되지 않는다면 해당 블로그에서 사이트맵을 주기적으로 만들어서 등록할 생각입니다. 하지만 이 사이트맵으로 인하여 검색과 유입이 줄어들게 된다면 사이트맵 사용을 재고해봐야 되겠죠. 아무튼 전체 사이트맵 고속생성기로 만들어진 사이트맵에는 각 블로그 포스트 주소와 카테고리 주소가 모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사이트맵에 필수적으로 들어가야하는 요소가 포함되어있는 것만은 틀림없는 사실입니다. 블로그를 계속 모니터링해서 그 결과를 포스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이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