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보험 혜택이 적용되는 진료항목을 '급여'라고 하고, 건강보험 혜택이 적용되지 않는 진료항목을 '비급여'라고 합니다. 비급여 진료항목은 의료기관에 따라 진료금액을 달리하여 산정하기 때문에 병원마다 진료비용의 차이가 있고, 진료비용 전체를 환자(피보험자)가 부담해야 합니다. 이런 비급여 항목에는 상급병실료도 포함이 됩니다. 즉, 상급병실료는 지역과 병원의 종류 등에 따라서 진료비용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얘기가 되죠.
2018년 7월 이후로는 상급종합병원 및 종합병원의 2인실, 3인실에 건강보험 적용이 가능하게 되었고, 2019년 7월 이후로는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병원, 한방병원에 건강보험 적용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위에서 설명드렸지만 건강보험 적용이 가능하다는 것은 진료항목이 '급여'로 변경되었음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여전히 의원 및 치과병원은 2인실과 3인실에 건강보험 적용이 불가능하다고 하네요.
이번 시간에는 지역별, 규모별, 기관별로 상급병실료가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와 각 상급병실료를 확인하는 방법 등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아, 병원의 규모를 확인하려면 의원과 병원, 종합병원, 상급종합병원이 의미하는 바에 대해서도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그럼 출발할까요?
의원, 병원, 종합병원, 상급종합병원의 차이점 알아보기
1. 의원은 환자를 입원시킬 수 있는 병상의 수가 30개 미만인 의료기관을 말합니다. 의원에서는 일반적인 의료와 건강에 대한 상담을 해주기도 하죠.
2. 병원은 30개 이상의 병상을 갖추고 있으며 주로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의료행위를 하는 의료기관을 말합니다.
3. 종합병원은 100개이상의 병상을 갖추고 있으며, 병상수에 따른 진료과목을 갖추고 각 진료과목마다 전문의를 배정한 의료기관을 의미합니다.
4. 상급종합병원은 종합병원 중에서 중증 질환에 대하여 난이도가 높은 의료행위를 전문적으로 하는 곳 중에서 보건복지부 장관이 지정하는 의료기관을 의미합니다. 2011년부터 도입되었고 한 번 상급병원으로 지정되면 3년동안 지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현재는 3기 상급종합병원이 지정되어 있습니다. (3기 상급종합병원 지위 유지기간 : 2018년 ~ 2020년)
▼ 참고로 3기 상급종합병원 지정명단에 대한 내용은 지난번에 포스팅 했었죠. 궁금하신 분은 둘러보고 오세요.
▼ 다음으로 지역별 정보를 살펴보겠습니다. 지역구분은 '전체', 비급여진료비항목은 '상급병실료', 상세부야는 '상급병실료'를 선택후 검색버튼을 누릅니다.
▼ 그럼 상급병실료에 대한 전체 데이터를 지역별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평균값, 최저값, 최고값 모두를 검색할 수 있는데, 여기서는 평균값으로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상급병실료 1인실에 대한 지역별 내용입니다. 아래와 같이 그래프로 먼저 확인이 가능하구요.
▼ 바로 아래에서 지역별 자료를 최저금액, 평균금액, 중간금액, 최고금액 등으로 구분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지역별 상급병실료 1인실 평균금액을 살펴보겠습니다.
전체의 1인실 기준 상급병실료 평균금액은 131,195원입니다. 서울의 1인실 기준 평균금액은 200,585원입니다. 서울이 타지역에 비해 많이 높은 편이군요. 부산의 1인실 기준 평균금액은 111,766원입니다. 인천의 1인실 기준 평균금액은 141,417원입니다. 대구의 1인실 기준 평균금액은 136,572원입니다. 광주의 1인실 기준 평균금액은 101,914원입니다. 대전의 1인실 기준 평균금액은 131,514원입니다. 울산의 1인실 기준 평균금액은 109,000원입니다. 경기의 1인실 기준 평균금액은 138,635원입니다. 강원의 1인실 기준 평균금액은 105,443원입니다. 충북의 1인실 기준 평균금액은 104,180원입니다. 충남의 1인실 기준 평균금액은 121,001원입니다. 전북의 1인실 기준 평균금액은 93,575원입니다. 광역자치단체 중 가장 저렴합니다. 전남의 1인실 기준 평균금액은 94,955원입니다. 경북의 1인실 기준 평균금액은 94,442원입니다. 경남의 1인실 기준 평균금액은 119,098원입니다. 제주의 1인실 기준 평균금액은 154,251원입니다. 세종의 1인실 기준 평균금액은 170,000원입니다. 세종시도 높은 편입니다.
▼ 다음으로, 지역별 상급병실료 2인실 평균금액을 그래프로 살펴볼까요?
▼ 위의 내용을 아래와 같이 테이블로 확인해보시죠.
▲ 지역별 상급병실료 2인실 평균금액을 살펴보겠습니다. 당연한 말이지만 1인실 상급병실료보다는 많이 낮은 수준입니다.
전체의 2인실 기준 평균금액은 42,555원입니다.
서울의 2인실 기준 평균금액은 70,295원입니다.
부산의 2인실 기준 평균금액은 30,088원입니다.
인천의 2인실 기준 평균금액은 47,500원입니다.
대구의 2인실 기준 평균금액은 39,868원입니다.
광주의 2인실 기준 평균금액은 32,115원입니다.
대전의 2인실 기준 평균금액은 51,250원입니다.
울산의 2인실 기준 평균금액은 33,889원입니다.
경기의 2인실 기준 평균금액은 56,439원입니다.
강원의 2인실 기준 평균금액은 47,341원입니다.
충북의 2인실 기준 평균금액은 45,000원입니다.
충남의 2인실 기준 평균금액은 33,957원입니다.
전북의 2인실 기준 평균금액은 33,333원입니다.
전남의 2인실 기준 평균금액은 42,000원입니다.
경북의 2인실 기준 평균금액은 27,898원입니다.
경남의 2인실 기준 평균금액은 35,543원입니다.
세종의 2인실 기준 평균금액은 20,000원입니다.
▼ 마지막으로 지역별 상급병실료 3인실에 대한 내용을 확인하겠습니다. 마찬가지로 평균값 다이어그램으로 먼저 확인이 가능하구요.
▼ 다음으로 지역별 최저, 평균, 중간, 최고금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지역별 상급병실료 3인실 평균금액을 살펴보겠습니다.
전체 상급병실료 3인실 기준 평균금액은 24,223원입니다. 서울의 3인실 기준 평균금액은 36,510원입니다. 부산의 3인실 기준 평균금액은 16,718원입니다. 인천의 3인실 기준 평균금액은 31,818원입니다. 대구의 3인실 기준 평균금액은 20,909원입니다. 광주의 3인실 기준 평균금액은 15,670원입니다. 대전의 3인실 기준 평균금액은 29,227원입니다. 울산의 3인실 기준 평균금액은 19,682원입니다. 경기의 3인실 기준 평균금액은 29,820원입니다. 강원의 3인실 기준 평균금액은 37,600원입니다. 충북의 3인실 기준 평균금액은 21,000원입니다. 충남의 3인실 기준 평균금액은 22,500원입니다. 전북의 3인실 기준 평균금액은 18,482원입니다. 전남의 3인실 기준 평균금액은 27,429원입니다. 경북의 3인실 기준 평균금액은 18,123원입니다. 경남의 3인실 기준 평균금액은 17,658원입니다. 제주의 3인실 기준 평균금액은 12,000원입니다. 세종의 3인실 기준 평균금액은 20,000원입니다.
▼ 이번에는 기관별 현황정보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병원규모별, 지역별 상급병실료에 대한 사항을 확인했으니 다음은 우리 동네의 현황정보를 살펴볼 차례겠죠? 비급여진료비항목을 '상급병실료'로, 상세분야를 '상급병실료'로 체크, 병원규모는 '전체'로 체크한 후, 본인이 사는 지역을 검색합니다. 여기서는 서울시 강남구까지만 조회해보겠습니다. 설정이 완료되었으면 하단의 '검색'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 그럼 아래와 같이 병원별 항목별 상급병실료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우측 상단의 '지도로 보기'를 클릭하면 해당 지역의 병원리스트를 지도 위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 아래와 같이 병원 규모별 지역의 병원들이 지도로 표시가 됩니다. 한눈에 확인이 가능하니 내가 가고자 하는 병원의 상급병실을 이용하고자 할 경우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마치며...
건강보험 급여항목이 점점 늘어나고 있어서 건강보험료를 내고있는 국민들 입장에서는 반길 일인 것 같습니다. 일반 병원급의 2~3인실도 급여항목에 포함되게 되어 좀 더 나은 환경을 이용하고 싶은 피보험자 입장에서는 좋은 현상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죠. 의원이나 치과병원, 요양병원들까지도 적용이 되었으면 좋겠는데 어떻게 될지 지켜봐야할 것 같습니다. 아무튼 건강보험 제도가 점점 국민을 위한 방향으로 가고 있는 것 같아 좋군요. 오늘은 여기까지만 할까요? 다음 시간에 다시 만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