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국민연금 임의가입을 하고 계신 분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주로 직장을 다니다가 퇴직을 한 여성분들께서 많이 가입하고 계신데요... 최소금액 9만원 이상이면 가입이 되고 최소 가입기간 10년을 채운 후 65세가 넘으면 수급을 받을 수 있다고 하니 노후의 안정적 소득원이 될 수 있겠네요.
그렇다면 과연 국민연금 수급자의 변천사는 어떻게 될까요? 아래에서 통계자료를 확인하시면 알게 되겠지만, 수급인원은 꾸준히 늘어나고 있는 추세입니다. 수급자의 수가 많아질수록 국민연금을 받지 못하게 되는 불안함이 생기게 될 수도 있겠지만 나라에서 그런 걱정을 할 필요는 없다고 하니 믿고 따라가면 되겠죠. 아무튼, 국민연금 수급자의 연도별 통계자료와 통계자료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하여 공유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출발!
국민연금 연도별 수급자현황 (~2018년)
▲ 2018년 기준 국민연금 수급자현황입니다. 자료의 출처는 e-나라지표입니다. 2009년의 국민연금 수급자는 2백6십만 명 정도였습니다.
그 숫자가 꾸준히 늘어나면서 2018년에는 4백5십만 명을 넘어섰네요. 2018년 기준으로 보면 노령연금수급자는 3,778,824명, 장애연금수급자는 75,734명, 유족연금수급자는 742,132명으로 합계 4,596,690명이 되었습니다.
여기서, 노령연금수급자는 국민연금 수급연령 도달에 의하여 국민연금을 수급받는 사람, 장애연금수급자는 국민연금 가입자 또는 가입자였던 자가 신체나 정신적 장애를 입은 경우에 국민연금을 수급받는 사람, 유족연금수급자는 국민연금 가입자 또는 가입자였던 자가 사망하는 경우 유족으로서 국민연금을 수급받는 사람을 의미합니다.
장애연금수급자는 크게 변동이 없었고, 노령연금수급자와 유족연금수급자는 꾸준하게 그 수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 관련사이트로 국가통계포털도 있습니다. 이 사이트에서 보다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어요.
마치며...
우리의 노후를 책임지게 될 국민연금. 젊은 시절 열심히 일한 국민들이 노후생활을 누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국민연금에 대한 불신이나 불안함이 없도록 굳건한 정책과 홍보가 필요합니다. 그래서 국민들 모두가 국민연금을 더 열심히 낼 수 있도록 말이죠. 물론 지금도 잘하고 있지만 앞으로도 열심히 일한 자가 그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끊임없는 노력과 경주를 해주시길 바라며... 이만 글을 줄입니다. 그럼 이만. 아, 자료가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버튼 한 번씩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