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 종류의 상품을 국가 전체의 입장에서 평균한 것이 '물가'의 개념이라면 소비자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기 위하여 구입하는 상품은 '소비자물가'가 됩니다. 특정 국가나 도시의 소비자물가가 높다는 것은 생활비가 많이 소요된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연필 한 자루의 가격이 A국가에서 100원이고 B국가에서 200원이라면 '연필' 한가지만 보았을 때 B국가에서는 A국가에서 소요되는 비용보다 두 배를 더 주고 연필을 사야하죠. 생필품 그룹으로 살펴볼까요? C국가에서 1만원인데 D국가에서 2만원이라면 D국가의 비용이 두 배 더 소요됩니다. 이런 개념으로 생활하는 데 필요한 물품의 평균값이 어떤 국가는 적고 어떤 국가는 많을 것입니다. 이게 바로 물가가 되는 것이고 물가를 실생활로 적용한다면 소비자물가 또는 생활비의 개념이 되는 것이죠.
그렇다면 전세계에서 생활비가 가장 비싼, 즉 소비자물가가 가장 높은 곳은 어디일까요? 그리고 생활비와 더불어 우리의 생활과 밀접하게 관련이 되어있는 주거 임대비용(월세)는 어느 나라의 어느 도시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을까요? 그 정답을 알아보기 위해 저와 함께 가보도록 하시죠. 바로 출발!
전세계에서 생활비가 가장 많이 드는 도시 Top 25
◆ 이번에 조사한 자료는 넘베오(Numbeo) 사이트에서 발췌하였으며 조회일은 2019년 10월 26일입니다. 참고로 생활비 지수, 주거임대료 지수, [생활비+주거임대료] 지수는 미국의 뉴욕시가 기준이 됩니다. 뉴욕시의 각 지수를 100으로 보았을 때의 비교값이 되는 것이죠. 예를 들어, 뉴욕시가 100의 값을 가질 때 특정 도시의 지수가 120이라면 해당 도시의 해당 지수는 뉴욕시보다 20% 높은 것입니다. 참고해서 포스팅을 보시면 좀 더 쉽게 이해하실 수 있어요!
▼ 그럼 먼저 생활비 지수가 가장 높은 도시 순위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생활비 지수는 주거임대료를 제외한 개념입니다. 참고하세요.
▼ 넘베오사이트에서는 생활비, 부동산가격, 범죄, 보건의료, 오염, 교통, 삶의 질, 여행 등 여러 가지의 전세계 도시별 순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생활비와 주거임대비용은 'Cost Of Living'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 'Cost Of Living' 탭 하위의 'Cost Of Living Index (Current)' 탭을 클릭합니다. 이 탭에서 현재의 도시별 생활비 비교를 할 수 있습니다.
▼ 도시별 생활비 수준을 그래프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세히 보려면 넘베오 홈페이지의 지도를 클릭하면 됩니다.
▼ 그럼 아래와 같이 확대된 지도를 볼 수 있습니다. 초록색이 생활비 지수가 낮은 도시, 빨강색으로 갈수록 생활비가 높은 도시가 됩니다. 대한민국의 서울은 주황색과 빨강색의 중간정도의 색깔을 나타냅니다. 생활비 지수가 높은 수준에 있다는 것을 의미하겠죠.
▼ 생활비에 대한 여러가지 항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생활비 지수, 주거임대비 지수, 식료품 지수, 외식비용 지수, 구매력 지수 등 생활비와 관련된 여러가지 항목을 비교해 볼 수 있습니다. 오늘 확인한 내용은 생활비와 주거임대비, 생활비+주거임대비에 대한 지수들이었습니다.
▼ 지역을 선택할 수도 있는데요. 생활비 지수에서 특정 대륙을 선택하면 해당 대륙 내에 있는 국가들만 확인이 가능합니다. '아시아'를 선택해볼까요?
▼ 그럼 아시아 국가들에 대한 내용만 확인이 가능합니다. 지도상의 색깔로 예상해 보면 대한민국의 서울 생활비가 높은 것 같군요.
▼ 표로 확인해보니 아시아 국가중에서는 대한민국의 서울이 일본의 도쿄 다음으로 높은 생활비 지수를 보이고 있군요. 즉, 아시아에서 도쿄 다음으로 생활비가 많이 들어간다는 말이네요. 서울에서 살아가기 쉬운 건 아니라는 말이겠죠?
마치며...
무엇이든 미시적 관점으로 바라보면 자세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지만 거시적 관점으로 보게되면 전체적인 맥락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내부의 지표들도 챙기면서 세계에서 대한민국이 어느 정도에 위치하는 지 알아본다면 세계속의 대한민국을 더욱 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 같네요. 넘베오 사이트에서 세계의 각 도시들에 대한 많은 비교지표들을 통계자료로 제공하고 있으니 우리나라가 각 지표에서 어느 정도의 위치에 있는지 비교해보시고 대한민국의 오늘을 짚어보시기 바랍니다. 그럼 이만.